노벨리스, 울산에서 알루미늄 재활용 센터를 개소하다

선도적인 지속가능한 알루미늄 솔루션 제공업체이자 알루미늄 압연 및 재활용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인 노벨리스가 울산 알루미늄 재활용 센터의 개소를 발표했습니다.
노벨리스는 노벨리스와 Kobe Steel이 합작한 울산 알루미늄에 6,500만 달러를 투자하여 연간 10만 톤의 저탄소 알루미늄 판재 잉곳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재활용 센터를 건설했습니다.
노벨리스는 현재 경상북도 영주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알루미늄 음료캔 재활용 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울산 센터가 개소하면서 노벨리스는 이제 연간 약 47만 톤의 국내 재활용 처리 능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노벨리스가 전액 자금을 지원한 이 새로운 센터는 캔, 자동차, 산업 폐기물 등 다양한 알루미늄 고철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어 노벨리스의 지역 내 전반적인 재활용 처리 능력을 강화합니다.
노벨리스는 이 시설을 통해 연간 42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감소량은 나무 한그루당 평균 22kg 기준으로 약 1,900만 그루의 연간 CO₂1 흡수량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알루미늄을 재활용하면 보크사이트에서 알루미늄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에너지의 95%, 배출되는 온실 가스의 95%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루미늄은 품질 저하 없이 무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완전한 순환형 자재입니다.
노벨리스 아시아 사장인 Sachin Satpute는 "울산 알루미늄 재활용 센터는 음료 포장, 자동차 및 특수 제품 부문에서 지속가능한 저탄소 알루미늄에 대한 고객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재활용 알루미늄 자재의 사용을 확대하여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동시에 고객과 업계 전체의 탄소 발자국도 줄여 순환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노벨리스는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세 가지 글로벌 목표에 초점을 맞춰 "노벨리스 3×30" 비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평균 스크랩 사용률을 75%로 늘립니다.
- 출하되는 평판 압연 제품(FRP) 1톤당 CO2e를 3톤 미만으로 줄입니다.
- 산업의 순환성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선도적 투자를 실시합니다.
1. 미국 농무부(USDA) 산림청에 따르면 성목 한 그루는 1년에 48파운드(약 21.8kg)가 넘는 이산화탄소(CO₂)를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